Header Ads Widget

Responsive Advertisement

Ticker

6/recent/ticker-posts

구글 블로그 사이트맵 제출 방법 (사이트맵 생성기 사용)

구글 블로그 사이트맵


구글 블로그는 구글에서 운영하지만 

구글 검색엔진에 대한 등록과 사이트맵 제출은 스스로 해야합니다.


국내의 네이버 블로그 서비스와 비교가 되죠?

구글은 전세계인이 쓰는 검색엔진이기 때문에

문화가 다른 것으로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사이트맵이란?

사이트맵(Sitemap)은 사이트에 있는 페이지, 이미지, 동영상 등과

그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파일입니다.

구글의 검색엔진은 블로그들을 크롤링할 때 

아무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도 어느정도 크롤링이 가능하지만

사이트맵이 있다면 더 지능적으로 크롤링 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블로그를 구글 검색 결과에 빨리 노출되게 하기 위해서

구글서치콘솔에서 반드시 제출해야 하는 파일입니다.


구글 블로거(Blogger) 사이트맵 생성기


아래 사이트에 접속해서 주소를 입력한 후 generate sitemap 을 클릭합니다.


Blogger Sitemap - Generate XML Sitemaps for Google and Bing Search (labnol.org)

사이트맵 생성기
사이트맵 생성기

https://jken000.blogspot.com/atom.xml?redirect=false&start-index=1&max-results=500

이 블로그의 사이트맵이 생성되었습니다.

1부터 500까지의 인덱스입니다.

구글 서치콘솔은 사이트맵당 500개의 글을 크롤링 하는데

발행한 글이 500개가 넘어가면 뒷부분을 바꿔줘야 합니다.

redirect=false&start-index=501&max-results=1000

블로그를 막 시작한 시점에는 500개가 멀게 느껴지지만 

매일 꾸준히 블로그를 쓰는 사람들에게는 큰 숫자가 아닙니다.

글이 500개가 넘었을 때를 대비해서 미리 알아두시면 좋습니다.


구글서치콘솔에 사이트맵 제출하기


다음은 구글서치콘솔에 사이트맵을 제출하겠습니다.

구글서치콘솔에 접속하여 왼쪽의 메뉴에서 Sitemaps 를 클릭합니다. 

새 사이트맵 추가에 아래 atom.xml 부터 붙여넣습니다.

atom.xml?redirect=false&start-index=1&max-results=500
제출된 사이트맵
제출된 사이트맵

사이트맵이 제출되면 상태가 성공으로 바뀝니다.

이제 구글에서 이 블로그의 URL을 알기 때문에 

크롤링봇이 정기적으로 와서 정보를 파악하고 

검색엔진을 업데이트할 것입니다.


또 한가지는 구글 블로그의 대시보드에서 설정으로 들어가면

개인정보 보호라는 항목이 있습니다.

여기서 검색엔진에 표시됨 체크가 있습니다.

이 체크를 해제하면 검색엔진의 크롤링봇이 정보를 수집하지 못합니다.

혹시 설정을 잘못 건드려서 해제가 되었다면 다시 ON으로 체크합니다.


대시보드-설정-개인정보 보호
대시보드-설정-개인정보 보호


이제 구글 검색엔진이 내 블로그가 어디있는지 알고

검색엔진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RSS 피드 제출하기


구글서치콘솔에 RSS도 함께 제출하면 

최근 발행한 글의 정보를 검색 엔진에 업데이트 합니다.

사이트맵을 제출할 때 함께 제출해 줍니다.

마찬가지로 사이트맵 제출에서 블로그 주소 뒤에 아래의 코드를 입력합니다.


1
feeds/posts/default?alt=rss
cs


제대로 입력했다면 상태가 성공이라고 나옵니다.


관련문서



외부참조문서

사이트맵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  Google 검색 센터  |  Google Developers

다른 사이트에서 콘텐츠 공유하기 - Blogger 고객센터 (google.com)








댓글 쓰기

0 댓글